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미국 Fed 빠른 대책이 시작되고 있다

by 윤슬이다 2024. 4. 1.
반응형

이 글은 개인적인 공부를 위한 글입니다. 지금의 시장 상황고 다릅니다. 전일 미국지수가 가파르게 올랐다. 그 이유로 Fed의 대책이 빠르게 시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4일부터 CP매입기구가 출범하면서 해당 기구에서 CP를 간접적으로 매입하기 시작을 할것이고 Fed는 중소기업 급여 대출 매입 기구 설립예정이다.

 

-중소기업 중에서 급여를 주지 못해서 어쭐 수 없이 직원을 해고해야 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급여를 빌려주는 기구(Fed가) 2개월 동안 빌려준다고 한다. 전에 버냉키 의장이 지금의 상황이 눈보라와 같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다.

 

금융위기는 기업이 파산하고 사람들이 해고를 당한것이라면 코로나는 기업이 파산당하지 않게 버티고 있고 사람들이 일시적인 정직 상태이다 그러나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기업도 버티기 힘드니 Fed에서 기업이 버틸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연준, 연쇄적인 도산 방지를 위해 투자부적격 채권 지원도 필요

- 돈이 잘 흘러가지 않는 하이일드 채권시장을 위해 투자적격 등급채권 뿐만아니라 부적격 투기등급 채권까지 사야 된다는 뉴스(이래도 되나..?)

 

옐런, "연준 지금 주식 매입 필요없지만, 의회 허용재 고려해야 됨"

 

- 지금은 아니지만 갑자기 더 큰 위기가 터질수 있으니 미리 준비해 둬야 된단 소리 위 뉴스들이 중요한 게 fed가 더 이상 시장이 악화되는 것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당분간 고용쇼크→소비위축→성장률(기업실적) 악화로 이어지는 트라우마 불가피 최근 일자리 감소는 저임금 및 중 소기업 쪽에서 주로 발생했다면 4월 말까지 연장된 코로나 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 른신규 일자리 감소는 전체 고용 인구의 약 절반 가량을 책임지는 대기업을 포함하 여 전방위적으로 이루어질 개연성이 크다.

 

따라서 판세를 바꿀 만한 대형 호재가 등 장하기까지 금융시장은 당분간 고용 쇼크가 성장률(기업실적) 충격으로 이어질 수 있 다는 트라우마 속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시황

연준은 코로나19 극복까지 제로금리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한다.

 

- 3월 fomc 의사록을 통해 모든 위원들이 코로나19사태로 미국 경제 전망이 크게 악화됐으며 불확실해진 것으로 봤다고 밝힘 이에 미 경제가 위기를 극복했다고 확신할 때까지 현 제로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평가했음 샌더스 민주당 대선후보 사퇴 결정

 

- 샌더스 미 상원의원은 대의원 확보 수가 바이든 의원에 비해 300여명 뒤쳐지고 있어 승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선거운동 중단 방침을 발표 알제리 석유장관, OPEC+ 회동에서 성과 나올 것

 

- 모하메드 알캅 OPEC 의장 및 알제리 석유장관은 OPEC+ 긴급회의를 앞두고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발언 WSJ 트럼프, 원유 가격 통제를 위해 관세 부과 고려 중 -

 

트럼프 대통령이 원유 가격을 통제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 고 있다고 윌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 미 정부가 원유생산 기업들에 강제로 감 산을 압박하는 방안에 부정적이라고 덧붙임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최선의 시나리오에도 미 경제가 코로나19 위기 이전보다 약할 것으로 우려 극적인 해결책은 백신

 

-코로나19 여파, 상반기 내 해소 기대 코로나19는 현재의 임시 치료방법으로도 충분히 완치 가능. (정식 승인 받은 약은 아니지만 환자들에게 제한적으로 공급) 현재 레트라 (HIV 치료제), 클로로퀸 (말라리아 치료제) 등이 코로나19 환자에게 투약 중. 3월 말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클로로퀸, 하이드록실 클로로퀸 등에 대해 긴급 사용 승인하여 더 많은 환자들에게 투약 가능. 렘데시비르의 임상 결과가 센티먼트 회복에 중요 -4월 렘데시비르, 클로로퀸 대규모 임상에서 긍정적 결과 발표 기대.

 

미국 FDA나 식약처 승인 전 동정적 사용 확대 (지난 4월 3일 유럽에서 긴급 사용 승인)로 4월부터 본격적으로 중증 환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져 치사율 (확진자 중 사망자 비율)을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도 최근 희귀 질환 치료제 지정 포기로 싼 가격으로 공급될 것으로 기대 (1회 투약 시 50~100달러).

 

더 중요한 것은 코로나로 인한 두려움 해소. 이를 위한 백신 개발 절실 -치료제도 중요하지 만 코로나19 사태의 극적인 해결책 백신이 될 것.

 

코로나19 치료제는 중증 환자의 치료로 치사율을 낮출 수 있어 국경을 개방할 수 있는 계기. 하지만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려면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과 같이 국제적인 교류가 회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개인의 현오와 불안에서 기인된 공포에서 벗어나야 함.

 

중요한 계기는 바로 백신 개발의 성공. 코로나19 백신으로 감염 예방이 가능하면, 국가 간 이동이 자유로워 질 것으로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