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fed의 마이너스 금리 가능성

by 윤슬이다 2024. 4. 5.
반응형

이 글은 개인적인 공부를 위한 글입니다. 지금의 시장 상황과 다릅니다.

마이너스금리

내용이 너무 어려워 결론부터 말하고 감.. 결론은 지난주 주식상승은 fed가 금리를 마이너스로 내릴 거라는 기대감에 상승했음 하지만 fed가 금리를 마이너스로 내릴 가능성은 거의 없음..

 

지난해 7~8월 무역전쟁이 심회 되자 fed는 보험적 금리 인하를 단행하게 됨 주식시장이 사상최고치를 기록해도 금리를 인하하는 기현상이 나타난 것임 이는 무역전쟁을 호재로 둔갑시켜 버림 그리고 9월 시중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레포 시장에서 발작이 일어났음 fed는 보험적 금리 인하와 함께 이례적인 단기 유동성 공급을 통해 레포시장의 발작을 막아냄 그리고 이렇게 풀려나옴 유동성과 fed가 무엇이든 해결해 줄 것이라는 믿음으로 지식시장은 하늘로 날아감

 

마지막으로 코로나 사태로 인해 fed는 정말 무엇이든 해주겠다는 강한의지를 표명하면서 무제한 양적완화와 함께 대규모 대출프로그램을 가동하게 됨.. 코로나 사태를 호재로 만들어버림 실물경재와 주식시장이 반대로 흘러감 (시장이 원하는 데로 fed가 해주고 있으니 시장이 미리움직임)

 

경기부양으로 인해 재정적자가 크게 늘면서 장기국채 발행이 늘어나게되면 장기국채 국채가격이 하락하면서 금리가 뛸 것이라는 두려움이 발생 금리상승과 함께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으니 시장은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을 원함

 

그럼 시중에 추가로 유동성을 뿌려줄 수 있는 틈이 생김.. 하지만 현재 fed 기준그밀타켓은 0~0.25% 임 기준금리가 이레발 사에에서 움직이도록 조절하겠다는 거임 0~0.25%인데 현재 기준금리는 0.05% 수준에 위치해 있음 자금이 더 풀려나오면 금리가 0% 밑으로 흘러내릴 수도 있음 그럼 기준금리타깃밴드를 지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그래서 fed는 역 RP금리와 IOER금리라는 보조수단을 도입함

양적완화

유통시장에서 국채를 사주면서 자금을 뿌려주는 것임 유통시장에서 국채를 가장많이 보유하고 있는 애들은 시중은행임 시중은행의 국채를 잔뜩 사주게 되니 은행들은 국채를 겁나팔아 현금이 넘치게 됨

 

그럼 은행들은 굳이 돈을 빌릴 필요가 없음 은행들 사이에서 자금을 서로 빌리고 받는 수요가 없다면 콜금리(은행들끼리 빌리는 금리)는 사실상 거의 제로 혹은 -까지 내려와 버릴 수가 있게됨.. 그럼 기준금리밴드의 밑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fed가 시중은행들에게 내가 가지고 있는 국채를 담보로 너희에게 돈을 빌릴게 라고함 0%에 빌릴 게라고함 그럼 0%에 빌려주는 사람이 나타났으니 금리는 0% 밑으로 떨어지지 않음

 

원래은행들은 돈이 모자를때 국채를 담보로 fed에게 돈을 빌리는데 이것이 - 레포거래임.. 근데 fed가 은행에게 돈을 빌리는 상황 -역레포.. (금리가 마구 내려가는 상황을 막아줌) 그리고 fed는 IOER이라는 제도를 쓰고 있는데 Interest On Excess Reserve의 약자임 은행들은 현금이 넘치게 되면 이현금을 대출해 주거나 혹은 채권을 사거나 하는 투자를 함 근데! 경기가 안 좋으면 대출해 줄 곳도 투자를 할 곳도 없으니 은행도 현금을 통장에 넣어두게 되는데..

 

거기는 은행들의 은행 중앙은행에 돈을 넣어둠 이렇게 은행에 돈을 잔뜩 잔뜩 박아뒀는데 갑자기 어디선가 조금 이자를 받을수있는 투자처가 생김 그럼 그쪽으로 돈이 쫘악 몰리며 자산 버블의 부작용을 만들게 됨.. (양적완화로 돈을 풀었는데 투자할 곳이 없어 돈을 묵혀두고 있는 상황에서 한쪽으로 쏠림발생)

 

그래서 fed가 일렇게 말함 너네 박하 둔 통장에 0.1% 이자 줄 테니까 돈 한 번에 막 빼지 마!!!!!!!!!!! 그럼 시중은행은 0.1% 이상의 투자처가 발생하기 전까진 돈을 막 빼지 않음 이렇게.. fed가 역 RP와 IOER 제도를 사용하며 금리를 조절하며 돈이 막 풀려나가는 것을 막고 잇는데 마이너스금리를 도입할까? 미국은 그 어떤 나라보도 직접금융 시장, 즉 채권 및 단기금융시장이 발달해 있기에 함부로 제로금리를 도입하기 힘듦. mmf은 고객들의 돈을 받아서 단기 국채나 단기 회사채인 cp 등에 투자를 ㅡ하는 대신 그 투자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서 소정의 수수료를 받아먹는 구조임

 

그런데 만약 단기국채금리가 마이너스라면,,,? 아무도 mmf에 투자하려 하지 않을것임 그럼 미국직접금융 시장에서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mmf 시스템이 마비가 됨 미국 시스템 붕괴된다는 소리임.. 고로 마이너스 금리 가기는 힘들다..